본문 바로가기

MIT challenge/Orientation

MIT challenge : 컴공 (6-3) 졸업요건 분석

MIT 컴공 (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, Course 6-3) 졸업요건.

 

 

**여기에서 말하는 학점(Unit)은 일반 대학에서 쓰는 학점 (15시간)보다 훨씬 작은 단위이다.

한 학기에 14시간의 공부를 하는 분량으로, 실제로는 1 Unit에 3시간정도의 강의가 들어간다.

편한 대로 1/5학점이라고 생각해도 좋고, 3시간 강의라고 생각해도 좋다.

 

1. GIR 요건

http://catalog.mit.edu/degree-charts/computer-science-engineering-course-6-3/

General Institute Requirements : 범용성 높은(?) 과목들, 기초과목 + 교양.

1. Science requirements : 물리, 화학, 생물학, 수학 등.

2. HASS (Humanities, Arts, Social science) : 인문, 예술, 사회과학. 

3. REST : 1학년때 듣는, 해당 전공의 전반의 체험판 교육? 이라고 함.

4. Laboratory Requirement : 실습.

5. 운동.

 

 

얘네를 완벽하게 챙길 생각은 없다.

  - 내 목표는 MIT 컴공수준의 컴공지식을 가지는 거지 MIT 컴공 커리큘럼을 그대로 따라가는 게 아니다.

  - 현실적으로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.

  - 실습류는 Open courseware에 공개가 안 되어 있는 경우도 있더라.

 

Science requirements중에서도 이후 전공 과목의 선행과목인 경우 (대수학 등)만 학습하기로 결정.

 

 

2. Departmental requirements (전공 요건)

http://catalog.mit.edu/degree-charts/computer-science-engineering-course-6-3/

4년치 계획표인 만큼 뭐가 많다.

하나하나 파고들어보자.

 

1. 일단 맨 위의 6.UAT와 6. UAR은 안할거다.

구술 커뮤니케이션 / 연구방법 강의, 컴공과는 딱히 관련 없다.

 

2. 전공 필수 (Computer science requirements)

요약하면 이렇게 된다.

대부분 선행 조건으로 이전 과목이 걸려있어서 순서대로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.

그 외에도 Calc I과 II, Physics I과 II가 선행과목으로 걸려있는데, 얘네는 아까 GIR에 있던 과목들이다. 얘네는 어쩔 수 없이 해놔야 한다.

 

Calc, Physics의 I, II까지 합하면 (각 12unit씩) 총 153 Unit이 나온다.

 

 

3. 전공 선택 (Elective subjects)

전공선택은 써있는대로 Computer science track에서 두 개, 기타 Track에서 두 개, 그리고 비슷한 과 (6-2, 6-3, 6-4, 18) 전공선택에서 하나까지 취향껏 고르면 된다.

과목당 보통 12unit이 할당되어 있는데 졸업 요건은 48~60 unit이므로 4과목만 골라도 된다. (아마도?)

 

어떤 과목들인지는 맨 아래를 참고하면 된다.

 

 

---

 

 

처음엔 컴공을 생각하고 짜고 있었는데 갑자기  6-4 (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cision Making) 전공이 눈에 확 들어왔다. 이게 뭐지?

안그래도 AI를 배우고 싶어서 시작한 프로젝트인 만큼 저쪽 전공도 알아봐야겠다.